다양한 외국어와 고유명사들을 받아들여서 표현으로 만드는 것이 바로 영어의 특징이다.
그래서 같은 내용을 말하더라도 정말 다양한 표현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배신자라를 표현하기 위해서 betrayer라는 쉬운 표현 외에도 renegade, apostate, quisling 등의 다양한 표현들이 있다.
뭐, 사실 그런 표현들이 다 같은 내용은 아니고, 실질적으로 조금씩의 차이들이 존재한다고 보는 것이 더 맞을 것이다.
아무리 유사한 뜻을 표현한다 하더라도 동의어들의 의미 영역은 완전히 겹치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로 apostate가 종교를 배반한 사람을 나타낸다면, renegade는 나라에 대한 충성을 저버린 사람을 지칭하는데 사용되는 것 같다.
아무튼 영어는 그렇게 다양한 표현들을 자기의 말로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다양한 외국어들이 영어 속으로 유입되었고, 그것들은 당당한 영어 표현으로 인정받는다.
영국에서 10년마다 한 번씩 발행하는, 영어권에서 가장 권위적이라고 평가받는 Oxford English Dictionary(줄여서 OED라고 한단다)엔 기모노나 김치같은 동양 언어의 표현들도 영어로 등재되어 있다고 한다. 물론 그 단어들이 원래부터 영어라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고, 기원을 확실히 밝히면서 말이다.
그러고 보면, 영어 단어들 안에는 참으로 많은 헬라어와 라틴어 단어들이 들어와 있음을 알 수 있다.
명사들이 그대로 쓰이는 경우도 있고, 또 헬라어나 라틴어 어근이 단어 속에 녹아 있는 경우는 더욱 많다.
영어 단어들 중에 왜 그리 com이나 pro 등으로 시작하는 단어들이 많은 것이 그 이유이다.
그리하여 때로는 명사의 경우에 복수 표현들까지 헬라어나 라틴어의 것을 취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원래 영어에서는 복수(plural)을 만들 때 명사 뒤에 -(e)s를 붙여서 만드는데 어떤 단어들은 그렇지 않는 것들이 있다. 예를 들면 datum의 복수인 data같은 경우인데, 이것은 라틴어의 어미를 그대로 영어에서도 유지했기 때문이다.
하여 본 블로그의 두 번째 글은 이러한 영어 속에 들어와 있는 헬라어와 라틴어 명사들과 그 곡용 규칙에 대해서 한 번 다뤄보려고 한다.
라틴어나 헬라어에 관심이 없더라도, 왜 phenomenon의 복수형은 phenomenons가 아니라 phenomena가 되는지, 그리고 analysis의 복수형은 왜 analyses가 되는지를 이해한다면 각 단어들의 복수형을 하나 하나 외우는 불편함을 조금이나마 없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사실 블로그는 야심차게 만들었지만 뭔가 쓸 내용이 없어서 고민하던 차에 그냥 한 번 써보는 것이다.
---------
1. -on 으로 끝나는 명사들
phenomenon (현상), magneton (전자), glutton (먹보), Abaddon (지옥)같은 명사들을 보면 다 단어 뒤에 on으로 끝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단어들은 헬라어에서 온 단어들이다. 보다 정확히 이야기한다면 2변화 중성 명사이다. 헬라어에서는 이런 단어들의 어미가 복수일 때는 -a로 바뀐다.
그러므로 phenomenon의 복수는 phenomena가 되는 것이다. 다른 단어들도 정확한 복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on을 a로 바꿔주면 되겠다.
그런데 apron이나 bacon 등도 on으로 끝나지만 복수는 그냥 aprons, bacons이다. 사실 쉬운 단어들인 경우에는 대부분 -s를 붙이면 된다. 이런 단어들은 헬라어에서 오지 않았거나, 영어적 표현과 동화되어서 그냥 간편하게 이렇게 변하는 것 같다.
2. -is로 끝나는 명사들
analysis (분석), basis(기초), emphasis (강조), oasis(오아시스) 과 같은 명사들도 사실 헬라어에서 온 것이다. 보다 정확히는 3변화 여성 명사들인데, 이런 명사들은 is를 -es로 바꿔주면 된다.
그러니까 analyses, bases, emphases 가 각각의 복수형이다.
3. -os로 끝나는 명사
cosmos (우주), rhinoceros (하마)등의 단어들은 복수가 각각 cosmoses, rhinoceroses이다. 원래 이 단어들은 헬라어 단어들이고, 헬라어에의 복수형으로는 cosmois, rhinocerois가 되어야 맞을 것이지만 그냥 뒤에 -es를 추가하는 것으로 복수를 만들었다.
4. -us
focus (초점), narcisus (나르시스, 수선화) 등의 단어들은 -us의 어미를 보인다. 이것은 라틴어 남성 명사의 어미인데, 라틴어에서는 -us의 복수형이 -i이다. 그러므로 각각의 복수는 foci, narcisi가 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